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6

건강한 백세시대 4대 항암약초 및 기타 항암에 좋은 약초 정리 암(cancer)의 사전적 의미는 생체 조직 내에서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미분화 세포로 구성되어 악성 종양을 형성하는 병입니다. 즉 암은 암세포가 정상적인 사멸 과정을 거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정상세포를 파괴하고 신체의 기능을 무너뜨립니다. 또 다른 암의 사전적 의미는 큰 장애나 고치기 어려운 나쁜 폐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이처럼 암은 우리들의 신체에 발생한 병이든 사회적 병이든 한번 발생되면 고치기 힘들고 돈이 많이 듭니다.따라서 암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 예방함이 중요합니다.2024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22년 83.6세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여자의 기대수명은 86.6세, 남자의 기대수명은 80.6세로 여자의 기대수명이 남자에 비해 5.. 2024. 5. 31.
구취제거에 효과만점.. 박하 효능 및 부작용, 섭취 시 주의할점 박하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Mentha piperascens이다.박하는 습기가 있는 들에서 자생하며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다.박하의 주성분은 멘톨로 진통제, 흥분제, 건위제, 구충제, 도포제 등의 약용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치약, 화장품, 담배 등을 만들 때 청량제 및 향료로 쓰인다.    목차  박하에 대하여우리말로 '영생이'라고도 불리는 박하(Mentha canadensis)는 꿀풀목 꿀풀과 박하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예전에는 박하를 나물로 많이 만들어 먹던 풀로 전세계에 분포한다.박하의 다른이름으로는 '야식향, 번하채, 인단초, 구박하'가 있다.박하뇌박하에서 추출한 멘톨을 모아 박하뇌라고 하는데, 박하뇌는 박하 및 기타 멘톨류 식물에서 추출하거나 합성하여 얻어지는.. 2024. 5. 30.
칼슘과 비타민이 풍부한 여름철 입맛 찾아주는 장수나물.. 비름나물 효능 비름나물은 비름을 데친 후, 된장 또는 고추장에 파, 마늘, 참기름, 깨소금 등을 넣고 무친 나물을 말한다.비름은 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콩밭, 고추밭 등에서 자라는 잡초이다. 지역에 따라서 '비름나물, 비듬, 비듬나물, 새비름, 참비름'이라고 부른다. 내고향 충청도에서는 비듬, 비듬나물이라고 많이 불렀었다.비름은 잡초라기엔 삶아 무치면 여름철 잃어버린 입맛을 찾아주는 먹거리 중 하나입니다.특히 비름나물은 부드럽고 영양소가 풍부하고 부작용이 없어 어르신들에게 더없이 좋은 식품입니다.    목차  비름에 대하여  ● 비름 학명 : Amaranthus tricolor비름의 원산지는 인도이다.비름은 줄기에는 털이 없고 곧게 서고 키는 1m까지 자란다.잎은 마름모꼴 달걀모양이다. 꽃은 여름에서 가을까지 백.. 2024. 5. 29.
당뇨콩.. 루피니빈 효능 및 부작용, 먹는법, 밥짓기 당뇨콩이라 불리는 루피니빈콩에 대해 들어보셨나요?최근 방송에서 루피니빈콩에 대해 소개하는 것을 보았습니다.루피니빈은 콩의 일종으로 호주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단백질 함량은 높고 당질 함량은 낮아 당뇨환자에게 특히 좋은 식품으로 소개되었습니다.이에 루피니빈 콩에 대한 것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목차  당뇨콩 루피니빈에 대하여루피니빈 100g에는 37.5g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식이섬유는 27.8g을 함유하고 있습니다.따라서 당뇨환자에게 특히 좋으며,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 식품이라고 합니다.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가 짧아서 그런지 가격이 꽤 높게 책정되어 있습니다.루피니빈이란?루피니빈은 기원전 2000년전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의 약용작물로 재배되어 온 곡물이라고 합니다.고대 그리스 및 .. 2024. 5. 28.
씀바귀의 쓴맛 항암효과.. 씀바귀 효능 씀바귀는 '맛이 쓴 상추'라는 뜻으로 봄철 쌉쌀한 맛으로 겨울철 잊은 입맛을 되찾아주고 나른함을 깨워주는 봄나물이다.씀바귀 속에는 칼슘, 철, 비타민 함량이 시금치보다 월등히 높다고 한다.또한 씀바귀 속 이눌린 성분은 항암효과가 있어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씀바귀는 봄철 생으로 무쳐 먹거나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는다.이에 씀바귀의 효능이 및 부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목차  씀바귀에 대하여  씀바귀는 한국 및 일본에 분포하는 식물로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들풀로 여겨졌던 풀입니다.씀바귀는 쌉쌀한 맛이 특징인데, 그 쌉쌀하고 쓴맛은 내는 성분이 이눌린이다.이눌린은 항암효과가 좋은 성분이다.또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은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시나로사이드 성분은 우리 체내에 쌓.. 2024. 5. 27.
올리브유 효능 및 부작용 올리브유를 히포크라테스는 '천연항생제'로 호메로스는 '흐르는 황금'에 비유했다.올리브유는 올리브나무 열매를 압착 및 추출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식물성 오일로 각종 요리에 이용된다.올리브유는 맛과 풍미가 좋고 샐러드, 파스타 등 지중해 식단에 빠질 수 없는 재료이다.그리고 올리브유는 피부미용 및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약재로 활용되는 건강식품이다.올리브유를 구입하면서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라고 표시된 것을 많이 봤을 것이다.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는 올리브나무의 열매에서 오일을 짠 뒤 화학적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자연상태의 올리브오일로 산도가 0.8% 이하인 것을 말한다.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는 발연점이 낮은 오일이기 때문에 가열해서 먹기보다는 샐러드로 먹거나 바게트 같은 빵에 찍어 먹는 것이 좋다.좋.. 2024. 5. 26.
색깔별(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프리카 효능 파프리카는 고추속 고추종에 속하는 야채식물로 고추와 겉모습이 흡사하다.고추는 매운맛이 강한 반면 파프리카는 매운맛이 덜하고 단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그래서 파프리카를 '단고추'라고 부른다. 또한 단고추에는 파프리카 외에 피망이 있다.많은 사람들이 파프리카와 피망은 구분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이에 파프리카, 피망, 고추의 다른점 및 파프리카의 효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파프리카에 대하여파프리카는 고추속 고추종에 속하는 식물로 학명은 Capsicum annuum L.이다.파프리카의 100g당 칼로리는 20kcal이다.파프리카(paprika)파프리카는 피망에 비해 매운맛이 없고 단맛이 강하다.그리고 피망에 비해 육질이 부드럽고 단맛이 있으며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것이 특징이다.서양에서는 파.. 2024. 5. 25.
쇠비름 효능 및 부작용 쇠비름은 예전에는 보리밭, 콩밭, 고추밭 등에서 농민들을 괴롭히는 잡초에 불과했다.뽑아도 뽑아도 생기는 잡초.쇠비름은 번식력이 강하고 강한 생명력으로 길가에서도 아스팔트에서도 잘 자라는 잡초.그런 잡초가 최근에는 쇠비름의 각종 효능이 소문나며 쇠비름을 재배하는 농가가 생겨날 정도가 되었다.이에 쇠비름의 효능 및 부작용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쇠비름에 대하여쇠비름은 생명력이 굉장히 강하다.그래서 밭이건 풀밭이건 빈터이건 가리지 않고 번식한다.예전 어릴 적 시골에 살 때 부모님을 도와 콩밭 같은 곳에서 풀을 뽑을 때가 있었다.그때 가장 많았던 풀중에 하나가 쇠비름이었던 것 같다. 쇠비름은 먹지 않았고 그냥 뽑아서 밭둑에 버리던 잡초에 불과했다.그런데 버림받던 쇠비름이 이제는 귀한 약초가 되었다.쇠.. 2024. 5. 24.
뼈 건강 및 관절염에 좋은 마가목 효능, 마가목 부작용 마가목은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지에서 자라는 나무이다.새순의 모양이 말의 이빨을 닮았다고 해서 마가목(馬牙木, 말마, 어금니아, 나무목)이라고 불렸었다고 한다.예로부터 '풀 중에는 산삼이 최고이고 나무 중에서는 마가목이 최고'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마가목은 효능이 좋은 나무라고 합니다.그렇다면 마가목의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부작용은 없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마가목에 대하여마가목은 해발 1,000미터에서 1,300m 고지 바위가 많은 곳이나 서늘한 음지 쪽의 계곡가에서 자생하는 나무이다.마가목의 꽃은 우산모양으로 모여서 핀다.마가목 잎의 특징마가목의 잎은 홈이 있는 잎줄기에 길이는 1.5~8cm 정도로 9장에서 13장씩 어긋나게 달려 있다.끝은 뾰족하고 긴 피침 모양이다.가장자리에.. 2024. 5. 23.
치매 예방에 좋은 은행잎 효능 가을이 되면 은행잎은 노랗게 단풍이 든다.그러면 은행잎을 주어 책 사이사이에 꽂아 두기도 하고 코팅하여 책갈피로 사용하기도 한다.은행이 우리 몸에 좋다는 것을 모르는 분들은 없을 것이다.그러나 은행잎이 이미 약품으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은 많을 것이다.은행잎이 얼마나 우리 몸에 유용한 것이었는지 알면 더욱더 은행잎을 더 소중하게 여기게 될 것이다.이에 은행잎의 쓰임새 및 효능에 대하여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목차  은행나무에 대하여● 은행나무 학명 : Ginkgo biloba은행나무는 낙엽성 교목으로 '공손수, 압각수'라고도 불리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가을이 되면 노랗게 물든 단풍나무의 아름다움으로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은행나무의 목재는 '행자목'이라 부른다.은행나.. 2024. 5. 22.
반응형